티스토리 뷰
목차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거나, 속이 더부룩할 때 생각나는 국물 요리가 있습니다. 바로 김치 콩나물국입니다. 김치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법 으로 얼큰하고 시원한 국물에 밥 한 공기 말아 먹으면, 피곤했던 하루가 풀리는 듯한 위로를 주죠. 특히 숙취 해소와 입맛 회복에도 좋아서 집밥 메뉴로 자주 찾게 됩니다.
오늘은 집에서도 간단하게 따라 할 수 있는 김치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1. 김치 콩나물국 재료 준비하기
김치 콩나물국의 기본은 신김치와 싱싱한 콩나물입니다. 신김치는 적당히 시어야 깊은 맛을 내고, 콩나물은 머리와 꼬리를 다듬어 깨끗이 씻어둡니다. 멸치와 다시마를 활용한 육수는 국물 맛을 시원하게 만들어주고,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이 칼칼함을 더해줍니다.
- 콩나물 300g
- 신김치 150g
- 김칫국물 3큰술
- 멸치 10마리, 다시마 1장
- 다진 마늘 1큰술
- 고춧가루 1큰술
- 국간장 1큰술
- 소금 약간
- 대파 1대
2. 김치 콩나물국 맛내기 비법
국물 맛의 핵심은 육수입니다. 멸치와 다시마를 10분간 끓여 우려낸 뒤 다시마는 먼저 건져내고, 멸치는 5분 더 끓여 깊은 맛을 냅니다. 여기에 신김치를 넣어 미리 볶아주면 양념이 김치에 배어 국물 맛이 훨씬 진해집니다. 볶는 과정에서 고춧가루를 넣으면 기름에 향이 배어 얼큰함이 살아납니다.
3. 김치 콩나물국 끓이는 순서 (보면서 그대로 따라 하기)
도구 | 20cm 내외 냄비 2개, 체(거름망), 국자, 타이머, 계량스푼
1) 육수 만들기 (10~12분)
① 멸치 10마리는 내장을 떼고 키친타월로 털어 수분을 제거합니다.
② 냄비를 중불로 달군 뒤 멸치를 기름 없이 30초만 마른 볶음해 비린내를 먼저 날립니다.
③ 물 1.5L, 다시마 1장(약 8×8cm)을 넣고 중불에서 끓입니다.
④ 끓기 시작하면 3~4분 뒤 다시마를 건져 쓴맛을 방지합니다.
⑤ 멸치만 남은 상태로 약한 끓임(보글보글)을 유지하며 5~7분 더 우립니다.
⑥ 체에 한 번 거르거나 멸치를 건져내 맑은 육수를 준비합니다.
2) 김치 볶기 (3~4분)
① 다른 냄비에 참기름 1작은술을 두릅니다.
② 잘 익은 신김치 150g과 김칫국물 3큰술을 넣고 중불에서 2분 볶아 산미를 눌러줍니다.
③ 고춧가루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을 넣고 20~30초 더 볶아 향을 냅니다.
※ 김치가 너무 시면 설탕 ½작은술을 더해 산미를 살짝 정리하세요.
3) 육수 합치기 (5~7분)
① 볶은 김치 냄비에 따뜻한 멸치육수를 붓습니다.
② 중불에서 5~7분 끓이며 김치 맛이 육수에 충분히 배도록 합니다.
③ 끓는 동안 위로 뜨는 거품은 국자로 살짝 걷어주면 국물이 맑아집니다.
4) 콩나물 넣기 (5분, 뚜껑 규칙 지키기)
① 콩나물 300g은 찬물에 2~3번 헹궈 껍질을 건져내고 물기를 털어 둡니다.
② 끓는 냄비에 콩나물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딱 5분 끓입니다.
③ 중간에 뚜껑을 열지 않기—열었다 닫으면 비린내가 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뚜껑을 계속 연 상태로 6~7분 끓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택1로 끝까지 유지하세요.
5) 간 맞추기 (1분)
① 국간장 1큰술을 먼저 넣고 맛을 봅니다.
② 부족한 간은 소금으로 미세 조절합니다. (간장을 더 넣으면 색이 짙어질 수 있음)
6) 마무리 (1~2분 뜸)
① 어슷 썬 대파 1대를 넣고 30초만 끓입니다.
② 불을 끄고 1~2분 뜸을 들여 콩나물 식감을 살립니다.
③ 기호에 따라 청양고추 ½~1개를 넣어 칼칼함을 더하거나, 후추 한 꼬집을 살짝 더합니다.
※ 참기름은 이미 김치 볶을 때 들어갔으니, 완성 후에는 추가하지 않는 편이 국물 맛이 더 깔끔합니다.
타이밍 요약 | 육수 10~12분 → 김치 볶기 3~4분 → 합치기 5~7분 → 콩나물 5분 → 마무리 1~2분
체크포인트 & 트러블슈팅
- 비린내: 멸치 마른 볶음 + 뚜껑 규칙(열면 끝까지 열기/닫으면 끝까지 닫기) 준수.
- 너무 시큼: 설탕 ½작은술 또는 양파 ¼개(채) 추가 후 3분 더 끓이기.
- 너무 매움: 물 100~150mL 추가, 소금으로 재간 맞추기.
- 심심함: 국간장 ½큰술 추가 대신 멸치액젓 ½작은술로 감칠맛만 보강.
- 콩나물 숨 죽음: 끓인 뒤 오래 방치하지 말고 바로 그릇에 담아 내기.
4. 김치 콩나물국 깊은 맛을 위한 팁
콩나물은 끓는 동안 뚜껑을 열거나 닫은 상태를 유지해야 비린내가 나지 않습니다. 중간에 뚜껑을 열면 콩나물 비린내가 배어 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김치를 충분히 볶아주는 과정이 중요한데, 이렇게 해야 시원함 속에 감칠맛이 배가됩니다. 국물에 청양고추를 살짝 넣으면 칼칼함이 한층 더해져 밥도둑이 됩니다.
5. 김치 콩나물국 보관과 재가열 방법
김치 콩나물국은 하루 정도 냉장 보관이 가능합니다. 오래 보관하면 콩나물이 물러지고 김치가 과하게 퍼질 수 있으니, 가능하면 조리 후 하루 안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재가열할 때는 중불에서 천천히 끓여주고, 간이 세졌다면 물을 약간 추가해 조절합니다. 냉동 보관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마무리 - 김치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법
김치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법은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작은 팁 하나로 맛의 깊이가 달라집니다. 추운 날씨나 속이 더부룩한 날, 시원하고 칼칼한 한 그릇이 생각날 때 오늘 소개한 방법을 꼭 활용해보세요.
집에서도 식당 부럽지 않은 김치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법으로 가족들의 밥상을 더욱 따뜻하게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요리 황금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통조림 만드는법 (2) | 2025.08.14 |
---|---|
전복죽 맛있게 끓이는 방법 (4) | 2025.08.12 |
깻잎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4) | 2025.08.11 |
돼지고기수육 맛있게 삶는법 (4) | 2025.08.07 |
고구마줄기 볶음 황금레시피 (5) | 2025.08.07 |